티스토리 뷰

HW

VoIP 기초용어 정리

I like simple code 2016. 4. 12. 19:11
728x90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요약공공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공중 전화 교환망을 말한다. 


각 가정(또는 사무실)의 전화기는 가입자 선을 통하여 전화국의 교환기에 접속되어 있는데

가입자 선을 수용하는 이 교환기를 지역교환기(LS:Local Switch, 가입자 선 교환기라고도 함) 라고 한다.

LS가 설치되어 있는 전화국은 보통 가입자를 수용하기 편리하도록 그 구역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으며,

수km 내지 십수k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교환기는 작은 스위치의 집합으로, 다이얼한 번호를 따라 차례로 스위치를 닫아서

전화를 걸고자 하는 상대방의 가입자 선에 접속하게 해준다.

상대방이 같은 구역 내에 거주하고 있으면 같은 LS 내에서 쉽게 접속될 수 있지만,

다른 구역에 있을 경우에는 그 구역의 LS까지 전송로를 연결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시외전화일 때는 경로가 훨씬 복잡해진다.

다이얼 숫자를 보고 시외전화임을 식별하게 되면 LS는 시외전화국의 교환기를 선택하여 접속하고,

여기서 상대방의 구역에 접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전화]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데이터 전송의 최소 단위)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이다. 다른 말로 인터넷전화라고 부르며, ‘IP텔레포니’ 혹은 ‘인터넷 텔레포니’라고도 한다. 일부 사람들은 사설 전용망을 사용하면 VoIP, 공중망을 사용하면 인터넷전화, 이 둘을 합하면 IP 텔레포니라고 엄격하게 구분 짓기도 한다.


m-VoIP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모바일 인터넷전화]


: 와이파이(Wi-fi, 무선 랜), 3G망과 같은 무선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해 휴대폰으로 인터넷전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스카이프(Skype) 등을 꼽을 수 있다.



* VoIP 의 동작원리


VoIP의 연결 원리는 일반적인 인터넷과 비슷하다.

인터넷 통신은 URL(인터넷 주소)을 사용하지만 VoIP는 전화번호를 사용한다는 게 다를 뿐이다.

인터넷 통신에서 URL을 입력하면 DNS 서버를 통해 상대방의 IP 주소를 획득하는 것처럼,

VoIP에서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소프트스위치(Softswitch)라는 시스템을 통해 상대방의 IP 주소를 획득한 후 통화로 연결된다. 기존의 인터넷망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같은 VoIP 사용자간에는 통신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연결은 어디까지나 VoIP와 VoIP끼리의 연결 방식에 따른 것이다.

VoIP가 전화로서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선전화나 휴대폰과 상호 연결되어야 한다.

하지만 VoIP는 인터넷망을, 유선전화는 PSTN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 둘을 연결해주는 장비가 필요하다.

이 역할을 하는 것이 게이트웨이다.


FDF <Fiber Distribution Frame> [광분배함/광분배반]


: 건물로 들어오는 광케이블을 광장비 접속하기전에 분배하기위해 설치된 장비

  보통 4코어 단위로 들어오는데, 2코어는 송신 함,주/예비 , 2코어는 수신 주/예비


MDF <Main Distribution Frame> [주분배함]


: 광장비에서 나온 케이블 데이터,교환기,전화 등으로 분배하기 위해 사용하며, 보통 E1급 단위로 사용


IDF <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 [중간 배선반]


: IDF는 최종 사용자 장치와 MDF 사이의 통신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존재하는 랙으로서, 서있는 형태와 벽에 장착되어 있는 형태가 있다. IDF는 MDF 에 종속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주배선과 수평배선 구조 사이의 변환점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 망구성도 : FDF - 광장비 - MDF - IDF




IP-PBX





: IP 기반에서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장비.

  호 처리, 시그널링 및 다이얼 플랜 을 관리하고 전화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관리


? 호 처리 : 위 그림 전화기 A에서 B로 전화를 걸고 받을때,

               직접 연결되는것이 아니라 IP-PBX 장비를 통해 송수신 되도록 전달이 된다.

               즉, IP-PBX는 일반스위치처럼 중간에서 호 정보를 전달하는 전달자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를 호 처리라고 한다.


? 시그널링 : IP-PBX는 IP 전화기간에 모든 호를 연결해주고 해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시그널링 제어 또는 호 제어라고 한다.


? 다이얼 플랜 : IP전화기를 통해 전화가 이루어지도록 길을 생성하고 유지관리하는데,

                        이를 다이얼 플랜 또는 호 라우팅이라 한다.




FTTH <Fiber To The Home>


☞ FTTH-R : TPS 가능. 현재까지 최고의 성능 (곧 이동통신 기능을 추가한 QPS 등장예정)

☞ FTTH-E : 특정장소까지는 광케이블을 설치하고, 집안에는 UTP 케이블을 통해 이더넷 방식으로 서비스

☞ FTTH-V : 특정장소까지는 광케이블을 설치하고, 집안에는 기존 전화선을 이용해 서비스 (UTP가 없는 상황에 최소 공급)


? TPS : 초고속인터넷, 전화, 방송 3가지를 한꺼번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방송 융합서비스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광케이블을 이용해 하나의 전화선으로 전화나 컴퓨터 통신, 팩시밀리 등과 같은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치비용이 비싸고 ISDN 시스템의 전원이 차단되면 외부에서 전화로 연락이 불가능해지는 등

  기존 아날로그 전화선보다 신뢰도가 낮다는 단점등, 지금은 사장되어 버린 기술이다.


VPN <Virtual Private Network>


: 일반 인터넷과 분리된 전용 내부 인터넷망을 구축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보안성이 좋고, 물리적인 전용망을 설치하는 것 보다 저렴합니다.
주로 멀리 떨어진 지역의 사무실을 같은 네트워크로 묶을 때 사용합니다.



인터넷연결 외에 내부 전용 네트워크 구성 가능


☞ IPSec-VPN

거의 모든 IP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 시스템의 IPSec VPN 클라이언트는 사무실 환경과 동일한 사용자 환경과 워크 플로우를 제공한다. IPSec은 개별 사용자 권한에 따라 기업 네트워크의 IP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하기에 용이하며 인증, 데이터 기밀성 서비스와 함께 IP 패킷 계층에서 매우 견고한 데이터 암호화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IPSec은 일관되며 언제나 접속이 필요한 상황에 이상적이다. 이 기술은 손상된 세션을 탐지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접속이 이뤄지기 때문에 짧은 시간 지연도 없다.


☞ SSL-VPN

SSL VPN의 대표적인 특징은 사용자들이 VPN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미리 설치하지 않아도 브라우저를 통해 기업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매우 매력적인 기능으로, 모바일 직원들에게 큰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호출을 받은 의사의 경우 가정용 PC나 PDA를 사용해 환자의 진료 기록에 액세스할 수 있다. 협력 업체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원격 접속을 필요로 하는 공동 프로젝트에 질문을 올리거나 협업할 수 있다. 또한 직원들이 인터넷 카페에서 기업용 문서나 이메일에 안전하게 액세스할 수도 있다.
SSL VPN의 단점은 애플리케이션이 웹을 기반으로 하지 않을 경우 효력을 발휘할 수가 없으며, 클라이언트가 없는 SSL 기반 VPN에 의해 지원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에도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보다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다운로드를 통한 애플릿에 의해 지원되거나 프록시나 터널링을 실행해야 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미치 출처 - http://blog.daum.net/haionnet/705
 


RTS/CTS


RTS/CTS (Request to Send / Clear to Send) 는 802.11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매커니즘이다. RTS/CTS 는 은닉 노드 문제 (hidden terminal problem)로 알려진 프레임 충돌을 막기 위해 사용한다. 본래 이 프로토콜은 노출 노드 문제 (exposed terminal problem) 역시 해결 하였으나 최근의 RTS/CTS는 ACKs을 포함하고 있고 노출 노드 문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NAC <Network Access Control>


: EP (End Point) 가 처음 내부망 네트워크에 접근을 시도할때, 내부망 피해 방지를 위해 ,

  EP에 일련의 보안정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킹 솔루션



이미지 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edialand7&logNo=150170331853


PON ( Passive Optical Network ) 수동 광 가입자망


PON은 별도의 전원공급이 불필요한 광수동소자 만으로 구성되는 가입자구간용 광 통신망(즉, 광 가입자망)을 말한다. 
PON 방식은 국사에 OLT(Optical Line Terminal) 를 두고

가입자 댁내까지 광선로망의 특정 지점에 광결합점(Optical Splitter 등)을 두어,

이곳에 전원공급이 불필요한 수동소자를 설치하여 하나의 광섬유에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 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방식


* 전송 구조
    ㅇ 일대다 형태
        PON 구조는 전화국의 1개의 OLT(Optical Line Terminal)에서 단일 광섬유로 광 스플리터에 의해 가입자 밀집지역에 
        있는 다수 ONU 또는 ONT(Optical Network Terminal)들이 연결하게 되는 Point-to-Multipoint(1대多, 1:32 등) 형태로 구성
        된다.

    ㅇ 상하향 비대칭 경쟁방식
        하향 전송은 Broadcast방식, 상향은 시분할 또는 파장분할 등의 방식으로 각 ONU가 경쟁을 한다.


* 특징
    ㅇ 광선로의 공유에 의한 설치비용 절감
         - PON은 스플리터와 같은 수동소자(별도의 전원 공급 불필요함)를 사용
         - 광케이블 하나를 다수의 ONU 가 공유하는 경제적 구축 기술
            . 기존의 FTTH 에서처럼 1대1로 광케이블을 연결했을 때보다 비용절감 가능
            . 광송수신장치와 광케이블 비용의 상당부분을 절감 가능
    ㅇ 수동소자 사용에 의한 유지비용 절감
         -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없는 수동소자 만이 전송로에 사용되어 유지비용 낮음 
    ㅇ 전송거리
         - xDLS은 전송거리가 약 4Km 이내이나, PON은 10~20Km 정도도 가능하다
    ㅇ 사용 파장대역 : 3개 파장대
         - 하향 1490 nm, 상향 1310 nm (데이터/음성)
         - 하향 1550 nm (비디오 방송)
         ※ 따라서, 전화국은 2개 광원/1개 광수신기, 댁내는 1개의 광원/2개 광수신기 필요

* 구분
    ㅇ 계층 2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른 구분 
         - G-PON(B-PON) :  Ethenet 및 ATM PON (ITU-T G.983 / 984)
         - E-PON/GE-PON : Ethenet PON(802.3모 EFM)
    ㅇ 전송방식(다원접속, Multiple Access)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
         - TDMA 방식 (하향 TDM, 상향 TDMA) : TDM-PON (B-PON/E-PON/G-PON)
          ※ TDM ( Time Division Multiplexing )
         - WDMA 방식 (하향 WDM, 상향 WDMA) : WDM-PON
          ※ WDM ( Wavelength Division Mutiplexing )
         - 혼합방식 : Hybrid-PON

 

* 시분할 (Time Sharing)

 

: 하나의 전송 매체에 각각의 메시지를 시간적으로 분리시켜, 몇 개의 메시지 채널을 서로 겹치지 않게 시간별로 서로 다른 메시지 채널로 병렬로 전송시키는 것. 이렇게 하면 1개 통신로의 펄스와 펄스 간의 휴지 시간을 이용해서 다른 통신로의 펄스를 넣을 수 있으므로 시간적으로 다른 다중 통신을 할 수 있다.

 

* 파장분할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파장분할 다중방식의 약자이다. 광파이버를 이용한 통신기술의 하나이다. 파장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신호를 동시에 이용 함으로서, 광파이버를 다중 이용하는 방식이다. 파장이 다른 광선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함에 따라, 광파이버상의 정보 전송량을 비약적으로 증대 시킬 수 있다. WDM을 보다 고밀도화 한 것을 DWDM이라고 한다. 


OLT ( Optical Line Terminal )


    OLT란 국사내에 설치되어 백본망과 가입자망을 서로 연결하는 광가입자망 구성장치를 말하며, 광 신호를 종단하는 역할을 
    한다.  국사내 OLT와 대응되어 가입자 구내/댁내에는 ONU 가 설치된다.  ONT 상호 간에는 직접적인 통신을 하지 않으며, 
    OLT 제어를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ONT ( Optical Network Terminal ) 옥내광종단장치


    ONT는 전화국사로부터 광케이블이 가입자댁내 또는 사업자구내까지 확장 포설되어 최종적으로 종단되는 장치를 말한다.  
    최종 종단 장치로 PC와 연결할 수 있는 일명 광 모뎀이라고도 말한다.


ONU ( Optical Network Unit ) 광통신망 유니트


  ONU는 주거용 가입자 밀집 지역의 중심부에 설치하는 소규모의 옥외/옥내용 광통신 장치를 말한다.

    ㅇ 사용자(이용자)와 망과의 분계점 
         - 광대역 통신에서 사용자(이용자)와 망과의 분계점으로의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UNI)역할을 담당한다.

    ㅇ 연결 형식 
         - 통상적으로 ONU는 국사 측의 OLT와 점대점으로 연결된다.
         - 과거에는 점대점 (1:1) 연결로 되어 있었으나, PON 방식에서는 가입자와 점대다(1: 多) 형태로 연결이 가능하다.


Backbone [백본망, 기간망, 핵심망] 


    네트워크상에서 중요 공유자원들을 연결하기 위한 특수한 기술이 적용되는 중추적인 기간 네트워크를 말한다.
    인터넷에서 보면 각 ISP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고속의 기간망일 수도 있다


SSID <Service Set Identifier> 서비스 세트 식별자


무선랜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헤더에 존재하는 고유 식별자이다.

무선랜 클라이언트가 BSS에 접속할 때 각 무선랜을 다른 무선랜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MSPP <Multi-Service Provisional Platform>


단일 장비상에서 전용선, 이더넷, SAN, ATM 등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복합 서비스 장비. 초대규모 집적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종래에는 별도의 장비로 운용되던 SDH ADM, DCS, LAN 스위치 등을 하나의 장비에 포함하고 있다. MSPP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SDH 기술과 Virtual concatenation, LCAS, GFP, MPLS 등의 신기술을 이용하여 고품질, 고신뢰의 이더넷 서비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기술들을 활용하면 사용자에게 64kbps 또는 2Mbps의 배수로 속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이것을 EOS(Ethernet over SDH) 서비스라고 한다. 현재 MSPP 장비는 지속적으로 기능을 확대하고 있으며, 내부 구조적으로는 IP 스위치, DWDM, OXC 등의 교환 기능을 통합하고 사용자에게는 음성 서비스, 파장 서비스, 기가비트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차세대 네트워크(NGN)의 핵심 구성 요소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DS 회선

 

DS-0

: 전송 속도 64kbps의 디지털 회선 또는 전용선. 현행 북미, 유럽, 일본 3종류의 디지털 계층에서 다중화의 기본이 되는 데이터 또는 디지털 음성 회선을 말한다.

 

DS-1

: 24개 DS-0 회선(64kbps)을 다중화한 1.544Mbps의 디지털 회선 또는 전용선. T-1 회선이라고도 한다.

 

DS-2

: 4개의 DS-1 회선(1.544Mbps) 또는 96개의 DS-0 회선(64kbps)을 다중화한 6.312Mbps의 디지털 회선 또는 전용선. T-2 회선이라고도 한다.

 

DS-3

: 7개의 DS-2 회선(6.312Mbps) 또는 672개의 DS-0 회선(64kbps)을 다중화한 44.736Mbps의 디지털 회선 또는 전용선. T-3 회선이라고도 한다.

 

DS-4

: 6개의 DS-3 회선(44.736Mbps) 또는 2,016개의 DS-0 회선(64kbps)을 다중화한 274.176Mbps의 디지털 회선 또는 전용선. T-4 회선이라고도 한다.

 

DS-5

: 4개의 DS-4 회선(139.264Mbps) 또는 7,680개의 DS-0 회선(64kbps)을 다중화한 565.148Mbps의 디지털 회선 또는 전용선. E-5 회선이라고도 한다.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 사용하는 포트(port number) 정리  (0) 2016.04.15
network 용어 정리  (0) 2016.04.14
Dell 서버 장애 처리  (0) 2015.03.17
Windows server 2012 설치 후 초기 설정  (0) 2015.03.17
SSD 와 NAND Flash Memory 개념  (0) 2015.03.13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