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PkeH/btqDrkAWgnb/wqQEzKiaVxMDEsV2iCIdc1/img.png)
지금 버전은 Visual Studio 2019이다. 구글에 Visual Studio 검색 후 다운로드 링크 클릭 무료 버전인 커뮤니티를 다운 받습니다.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저는 윈도 프로그램을 개발 하기 위해 닷넷과 C++을 선택했습니다. 여기서 MFC를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위 그림처럼 C++선택 후에 위에 오른쪽 빨간 박스에 체크를 하고 각자 필요한 도구들을 선택 후 설치를 누릅니다. 저는 2017이 설치되어 있어 설치 목록에 보이네요. 설치 완료 후 시작이 되었습니다. MS 계정이 있다면 로그인을 하고 나중에 로그인을 눌러 계속 진행해도 됩니다. MFC앱을 선택 후 다음을 누릅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적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들기 버튼을 누르고 나면 MFC를 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BFSI/btqDEFSjkWO/nMjkz0TuPnvKYDy3tb7Zyk/img.png)
요즘 대세 개발 툴인 Visual studio code 를 설치 합니다.code 설치 후에 이전 포스트에서 W3schools 에서 만든 소스를 복사해서 붙여 넣을게요.이전 글 참조 - [SW] - [웹 앱프로그래밍] HTML 기본 - 기초 웹 개발 하기 검색창에 vscode 검색다운로드 링크로 들어 가서 각자 OS에 맞는 vs code 를 다운로드 합니다.저는 윈도우에서 진행가기 때문에 윈도우 버전을 다운 받아요.다운로드 후 설치첫번째 빨간 박스에 체크를 하고 설치를 진행 합니다. vscode를 열 때 편합니다.cmd 창을 열고 어디에서나 code 를 실행을 시키기 위해서는 2번째 빨간 박스(PATH) 체크를 해줍니다.설치를 눌러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설치 완료 후 실행 화면 입니다.창을 닫고 이제 co..
Xamarin 설치 하고 한참이 지나서 포스팅 입니다. 설치를 했으니 개발을 해야 겠죠. Xamarin이 멀티 플렛폼 지원을 하지만IOS개발은 여전히 mac 필요 합니다.윈도우 에서 맥으로 연결을 해서 IOS 시뮬레이터로 실행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윈도우에서 Visual studio 2015를 다운 받고 설치 했습니다.최신 버전의 Visual studio를 설치 하면 아래와 같이 Xamarin Account 라는 메뉴가 나옵니다. 로그인을 해야 되는데 Xamarin 계정을 만들지 않았다면 만들어야 됩니다. * Xamarin 로그인 하지 않아도 Mac으로 연결이 됩니다. 아래 물음표를 누르면 Xamarin 홈페이로 연결이 되는데 오른쪽 상단 Sign in 을 누르면 로그..
- Total
- Today
- Yesterday
- nginx
- 웹앱
- oracle
- DB
- 오라클
- 클라우드
- HTML
- github
- 리눅스
- mysql
- 웹앱프로그래밍
- WEB
- GIT
- Visual Studio
- 도커
- 플라스크
- GCP
- docker
- 자바스크립트
- pythonanywhere
- Java
- 부트스트랩
- javascript
- 자바
- flask
- python
- 파이썬
- Hello World
- 웹앱 프로그래밍
- Clou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